프로그래밍 언어의 자료형(data type) :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
1. 정수형 (Integer): 정수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.
2. 실수형 (Float/Double):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.
3. 문자열 (String): 문자나 문장을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.
4. 불린 (Boolean): 참(True) 또는 거짓(False) 값을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.
5. 배열 (Array): 동일한 타입의 여러 값들을 하나의 변수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.
6. 객체(Object)/구조체(Structure): 서로 관련된 데이터와 함수(메서드)를 그룹화하여 복잡성을 관리합니다.
7. 튜플(Tuple): 서로 다른 타입의 요소들을 가질 수 있는 컬렉션 형태입니다.
8. 리스트(List)/벡터(Vector): 일련의 항목들을 저장하고, 크기가 동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.
9. 딕셔너리(Dictionary)/해시맵(HashMap): 키-값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합니다.
자료형 | C언어 | Java | C++ |
정수형(integer) | int, short, long | byte, short, int, long | short, int, long |
실수형(Floating point) | float, double | float, double | float, double, long double |
문자(Character) | char | char | char, wchar_t |
불린(Boolean) | - | boolean | bool |
문자열(String) | - | string(클래스) | string(클래스), char 배열 |
c++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
{
cout <<"Hello World!\n";
}
#include <iostream>
int main()
{
std::cout <<"Hello World!\n";
}
#include <iostream>
using std::cout;
using std::endl;
int main()
{
cout <<"소프트웨어"<<endl;
return 0;
}
나이 출력하기
#include <iostream>
using std::cout;
using std::cin;
int main()
{
int input;
cout <<"나이 입력:";
cin >> input;
cout <<"당신의 나이는"<<input <<"살 입니다.\n";
return 0;
}
여러 변수 값 출력(printf vs cout)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stdio.h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
{
int a, b, c;
a =100;
b =200;
c = a + b;
printf("%d, %d, %d\n", a, b, c);//C, 함수
cout << a <<','<< b <<','<< c;//C++, 객체
return 0;
}
숫자 하나를 입력받아 출력
#include <stdio.h>
#include <iostream>
using std::cout;
using std::cin;
int main(void)
{
int num;
//printf("숫자 하나를 입력하세요=");
cout <<"숫자를 입력하세요=";
//scanf("%d", &num);
cin >> num;
//printf("입력받은 수는 %d입니다.\n", num);
cout <<"입력받은 수는"<<num<<"입니다";
return 0;
}


프로그래밍 언어에서 (), {}, []의 목적과 의미
괄호 ():
함수 호출: 예를 들어, C++에서 print()와 같이 함수를 호출할 때 사용
연산자 우선순위: 예를 들어, (2+3) * 4에서 괄호 안의 연산이 먼저 수행
특정 언어의 문법 요소: 예를 들어, Python에서 튜플을 정의하는데 사용
중괄호 {}:
코드 블록: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(C++, Java, JavaScript 등)에서 함수나 제어 구조(if문, for문 등)의 범위(scope)을 정의하는데 사용
객체 리터럴: JavaScript 같은 일부 언어에서는 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
초기화 리스트: C++에서 배열이나 컨테이너 등을 초기화하는데 사용
대괄호 []:
배열 인덱싱: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배열 원소에 접근할 때 사용, 예시로 arr[0]은 'arr' 배열의 첫 번째 원소를 나타냄
리스트 리터럴: Python과 같은 일부 언어에서는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사용
세미콜론(;)을 문장의 끝으로 사용하는 언어
C
C++
C#
Java
JavaScript
PHP
Swift (하지만, Swift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세미콜론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.)
Go
식별자/상수/자료형/변수/함수 예제
#include <iostream>
int main(void) //콘솔 기반 C프로그램의 시작점
{ //main()함수의 시작
int num1, num2; //변수 선언문, 실행문 보다 먼저 씀
/* 변수명: 영문자(A-Z, a-z), 숫자(0-9), 밑줄(_)로 구성
변수(variable):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자료를
기억시키기 위한 기억장소의 이름 */
num1 =100; //대문자와 소문자는 다른 변수로 인식
num2 =-300; //변수에 상수 대입
//printf("두 수의 합은 %d입니다.\n", num1 + num2);
std::cout<<"두 수의 합은 "<<num1 + num2<<"입니다.\n";
//표준 라이브러리 함수
return 0;
} //main()함수의 끝
자동형 변환
#include <iostream>
using std::cout;
int main()
{
int a =10;
cout <<10 /4<<" "<<10.0 /4 <<" "<<10 /4.0 <<" "<<10.0 /4.0;
return 0;
}
증가, 감소 연산자 예
#include <stdio.h>
int main(void)
{
int a =10, b =10, c =20, d =20;
int ap, bp, cm, dm;
ap =++a; // a=a+1; ap=a; ap=11, a=11
printf("a=%d, ap=%d\n", a, ap);
bp = b++; // bp=b; b=b+1; bp=10, b=11
printf("b=%d, bp=%d\n", b, bp);
cm =--c; // c=c-1; cm=c; cm=19, c=19
printf("c=%d, cm=%d\n", c, cm);
dm = d--; // dm=d; d=d-1; dm=20, d=19
printf("d=%d, dm=%d\n", d, dm);
printf("%d\n", dm++);//나중에 증가(후치)
printf("%d\n", ++dm);//먼저 증가(전치)
return 0;
}
#include <iostream>
using std::cout;
int main()
{
cout << 10 << " " << 10.0 / 4 << " " << 10 / 4.0 << '\n';
cout << (double)10/4 << " " << (double)10/4.0;
return 0;
}
출처:한성현 교수님 smile han https://www.youtube.com/@smilehan8416
'C++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++ 프로그래밍 9주차 과제 (0) | 2023.11.01 |
---|---|
C++ 프로그래밍 6주차 과제 (0) | 2023.10.18 |
C++프로그래밍 5주차 과제 (1) | 2023.10.11 |
C++ 프로그래밍 4주차 과제 (0) | 2023.09.27 |
C++프로그래밍 3주차 과제 (1) | 2023.09.20 |